2022년 1분기 중기특공 커트라인
2022년 1분기에도 서울, 경기권의 많은 지역에서 아파트 분양이 모집됐습니다. 중기특공도 마찬가지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2년 1~3월에 모집한 중기특공 커트라인 점수와 모집 인원 결과를 공유합니다.
2021년 커트라인 점수가 궁금하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청약] 2021년 중소기업 특별공급 커트라인 점수 서울, 경기 지역 총정리
[청약] 2021년 중소기업 특별공급 커트라인 점수 서울, 경기 지역 총정리
중소기업 장기근속자 특별공급 중소기업 특별공급 또는 중기특공이라는 단어를 들어보셨나요? 혹시 중소기업에 다니면서 아직도 중기특공을 모르고 있는 건 아니겠죠? 중소기업 장기근속자 특
get-myhome.tistory.com
커트라인 점수 계산
중기특공 점수의 가장 큰 배점은 재직기간이죠. 점수 계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재직기간 점수 = (3 x 총 재직기간(1년마다)) - (현재 직장 전에 재직한 중소기업 수 x 2)
단, 재직기간 점수의 합이 75점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즉, 25년 근속이라면 최대 75점을 받을 수 있는 것이죠. 여기에 뿌리 산업 업종이라면 5점, 수상 경력이 있다면 2~5점, 연구원 또는 명장/기술자/핵심인력 등에 따라 2~5점, 자격증에 따라 1~3점, 자녀 수에 따라 1~5점, 주택 건설 지역 5점을 부여받을 수 있습니다.
인기 있는 지역의 커트라인은 보통 80점을 넘습니다. 개인이 노력하여 점수를 보충할 수 있는 부분은 현실적으로 자격증밖에 없다는 것을 참고하셔야 합니다.
그럼 지역 별 커트라인 점수를 알아보겠습니다.
서울 지역
서울 지역은 아쉽게도 두 곳 밖에 없었습니다. 신영지웰 에스테이트 개봉역과 북서울자이 폴라리스인데요. 역시나 커트라인 점수가 72~90점으로 매우 높았습니다.
경기 지역
경기 지역은 총 22곳에서 중소기업 특별공급 모집을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같은 경기권이라도 인기 있는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의 커트라인 점수와, 지원자 수의 차이가 분명했습니다.
가장 인기가 많았던 안양 어반포레 자연앤 e편한세상의 경우 46㎡을 제외하고 커트라인 점수가 평균 87점이고, 전 타입 신청자 수는 516명으로 제일 인기가 많았습니다. 게다가 만점에 가까운 98점 신청자가 있어 놀랍습니다.
가장 인기가 없었던 양주 모아엘가 니케는 전타입 신청자가 아예 없었습니다. 이 외에도 상대적으로 서울과 거리가 있고, 교통편이 불편한 곳은 역시나 커트라인 점수나 신청자 수가 많이 낮았습니다.
아파트 분양가가 아무리 높아졌다고 해도 중기특공 기회를 함부로 쓰고 있지 않다는 의미겠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