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월평균 소득이란
분양 공고 시점 기준으로, 전년도 소득을 바탕으로 산출되는 소득 기준입니다.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 금액은 공공 주택 및 임대 주택의 입주 가격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청약을 신청할 때 소득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으면, 나중에 합격 후 부적격 처리가 될 수 있으니 반드시 꼼꼼하게 체크해야 할 사항입니다.
2020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월평균 소득
그럼 2021년 공고에 참고하는 2020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을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의 수치는 가구 구성원 수 별로 100%의 수치를 70~160%로 곱하면 간단히 계산되는 값입니다.
※ 참고로 아래의 수치는 통계청에서 소득자료를 취합하여 발표하는 자료입니다. 실제 공고문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와 조금은 상이할 수 있으니, 아래의 표는 참고만 하고 항상 공고문의 소득 기준 표를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7인 가구 | 8인 가구 | |
70% | 3,938,828 | 4,358,439 | 4,856,848 | 5,315,858 | 5,774,868 | 6,233,879 |
80% | 4,501,518 | 4,981,074 | 5,550,683 | 6,075,266 | 6,599,850 | 7,124,433 |
90% | 5,064,207 | 5,603,708 | 6,244,519 | 6,834,675 | 7,424,831 | 8,014,987 |
100% | 5,626,897 | 6,226,342 | 6,938,354 | 7,594,083 | 8,249,812 | 8,905,541 |
110% | 6,189,587 | 6,848,976 | 7,632,189 | 8,353,491 | 9,074,793 | 9,796,095 |
120% | 6,752,276 | 7,471,610 | 8,326,025 | 9,112,900 | 9,899,774 | 10,686,649 |
130% | 7,314,966 | 8,094,245 | 9,019,860 | 9,872,308 | 10,724,756 | 11,577,203 |
140% | 7,877,656 | 8,716,879 | 9,713,696 | 10,631,716 | 11,549,737 | 12,467,757 |
150% | 8,440,346 | 9,339,513 | 10,407,531 | 11,391,125 | 12,374,718 | 13,358,312 |
160% | 9,003,035 | 9,962,147 | 11,101,366 | 12,150,533 | 13,199,699 | 14,248,866 |
이미지도 첨부했습니다.
특별 공급 소득 기준
민간 분양의 생애 최초, 신혼부부와 같은 특별 공급에도 위 기준이 사용됩니다.
예시로, 2021년 4월 9일 공고일인 민간 분양 검단 신도시 예미지 퍼스트포레의 신혼부부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신혼부부이면서 부부 모두 소득이 있는 경우와 외벌이인 경우, 그리고 1인의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를 초과하지 않는지 등 따져봐야 할 항목이 많습니다.
생애최초 특공도 마찬가지입니다.
청약 당첨되기가 하늘의 별따기인 만큼, 꼭 서류 하나하나 꼼꼼히 챙겨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